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 22장 this

Updated:


22장 this

1.this 키워드

19.1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봤듯이 객체는 상태(state)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동작(behavior)를 나타내는 메서드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은 복합적인 자료구조다.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는 자신이 속한 객체의 상태, 즉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때 this를 사용한다.

const circle = {
  // 프로퍼티: 객체 고유의 상태 데이터
  radius: 5,
  // 메서드: 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하는 동작
  getDiameter() {
    // 이 메서드가 자신이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나 다른 메서드를 참조하려면
    // 자신이 속한 객체인 circle을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return 2 * circle.radius;
  }
};

console.log(circle.getDiameter()); // 10

getDiameter메서드 내에서 메서드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 circle을 참조하고 있다.

실행되는 순서

  1. 변수 호이스팅으로 circle 변수 생성(초기화는X)
  2. circle변수에 할당되기 직전에 객체 리터럴을 평가
  3. circle객체 생성
  4. circle.getDiameter();즉, getDiameter메서드가 호출되어 함수 몸체가 실행된다.
  5. getDiameter메서드가 실행될 때 circle식별자를 참조한다.

circle.getDiameter();호출하는 시점에는 이미 circle객체가 생성되어 있으므로 메서드 내부에서 circle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이 속한 객체를 재귀적으로 참조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생성자 함수 방식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경우를 보자.

function Circle(radius) {
  // 이 시점에는 생성자 함수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알 수 없다.
  ????.radius = radius;
}

Circle.prototype.getDiameter = function () {
  // 이 시점에는 생성자 함수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알 수 없다.
  return 2 * ????.radius;
};

// 생성자 함수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먼저 생성자 함수를 정의해야 한다.
const circle = new Circle(5);

함수를 선언하는 시점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알 수 없다.

생성자 함수로 객체를 생성하려면 생성자 함수를 먼저 정의한 후 new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 즉, 생성자 함수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먼저 생성자 함수가 존재해야 한다.

생성자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는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특수한 식별자를 사용한다. 바로 this이다.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self-referenceing variable)다.

this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되며, 코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 함수를 호출하면 arguments객체와 this가 암묵적으로 함수 내부에 전달된다.

this가 가리키는 값, 즉 this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객체 리터럴에서 this사용하는 예제

// 객체 리터럴
const circle = {
  radius: 5,
  getDiameter() {
    //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
    return 2 * this.radius;
  }
};

console.log(circle.getDiameter()); // 10

생성자 함수에서 this사용하는 예제

// 생성자 함수
function Circle(radius) {
  //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this.radius = radius;
}

Circle.prototype.getDiameter = function () {
  //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return 2 * this.radius;
};

// 인스턴스 생성
const circle = new Circle(5);
console.log(circle.getDiameter()); // 10

javac++같은 클래스 기반 언어에서 this는 항상 클래스가 생성하는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자바스크립트의 this는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this바인딩될 값이 동적으로 결정된다.

// this는 어디서든지 참조 가능하다.
// 전역에서 this는 전역 객체 window를 가리킨다.
console.log(this); // window

function square(number) {
  // 일반 함수 내부에서 this는 전역 객체 window를 가리킨다.
  console.log(this); // window
  return number * number;
}
square(2);

const person = {
  name: 'Lee',
  getName() {
    // 메서드 내부에서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
    console.log(this); // {name: "Lee", getName: ƒ}
    return this.name;
  }
};
console.log(person.getName()); // Lee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console.log(this); // Person {name: "Lee"}
}

const me = new Person('Lee');

this는 객체의 메서드 내부 또는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만 의미가 있다.

일반 함수 내부의 thiswindow가 바인딩되고, strict mode에서는 undefined가 바인딩된다.(굳이 필요없기 때문에)

(function(){
    'use strict';
    function print(){
      console.log(this);
    }
    print();  // undefined
}())

하지만 아래 처럼 객체의 프로퍼티로 함수를 할당하면 메서드가 되어 객체가 this에는 객체가 바인딩 된다.

(function(){
    'use strict';
    function printThis(){
      console.log(this);
    }
    const obj = {};
    obj.print = printThis;
    obj.print(); // obj: {print: ƒ}
}())

2.함수 호출 방식과 this 바인딩

this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 즉 함수가 어떻게 호출되었는지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된다.

※ 렉시컬 스코프와 this 바인딩은 결정 시기가 다르다.
렉시컬 스코프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 결정된다.
this는 함수가 호출시에 결정된다.

※ 함수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
함수 선언문은 코드(함수 선언문을 포함한) 평가 단계에서 함수 객체 생성
함수 표현식은 코드(함수 표현식을 포함한) 실행 단계에서 함수 객체 생성

함수를 호출하는 다양한 방식

  • 일반 함수 호출
  • 메서드 호출
  • 생성자 함수 호출
  •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메서드에 의한 간접 호출
//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된다.
const foo = function () {
  console.dir(this);
};

// 동일한 함수도 다양한 방식으로 호출할 수 있다.

// 1. 일반 함수 호출
// foo 함수를 일반적인 방식으로 호출
// foo 함수 내부의 this는 전역 객체 window를 가리킨다.
foo(); // window

// 2. 메서드 호출
// foo 함수를 프로퍼티 값으로 할당하여 호출
// foo 함수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obj를 가리킨다.
const obj = { foo };
obj.foo(); // obj

// 3. 생성자 함수 호출
// foo 함수를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로 호출
// foo 함수 내부의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new foo(); // foo {}

// 4.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 메서드에 의한 간접 호출
// foo 함수 내부의 this는 인수에 의해 결정된다.
const bar = { name: 'bar' };

foo.call(bar);   // bar
foo.apply(bar);  // bar
foo.bind(bar)(); // bar

2.1 일반 함수 호출

일반 함수로 호출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function foo() {
  console.log("foo's this: ", this);  // window
  function bar() {
    console.log("bar's this: ", this); // window
  }
  bar();
}
foo();

strict mode에서는 thisundefined가 바인딩된다.

function foo() {
  'use strict';

  console.log("foo's this: ", this);  // undefined
  function bar() {
    console.log("bar's this: ", this); // undefined
  }
  bar();
}
foo();

메서드 내의 중첩 함수라도 일반 함수로 호출되면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 value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다.
var value = 1;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 value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 const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console.log("foo's this: ", this);  // {value: 100, foo: ƒ}
    console.log("foo's this.value: ", this.value); // 100

    // 메서드 내에서 정의한 중첩 함수
    function bar() {
      console.log("bar's this: ", this); // window
      console.log("bar's this.value: ", this.value); // 1
    }

    // 메서드 내에서 정의한 중첩 함수도 일반 함수로 호출되면 중첩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bar();
  }
};

obj.foo();

콜백 함수도 일반 함수로 호출되면 this에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console.log("foo's this: ", this); // {value: 100, foo: ƒ}
    // 콜백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setTimeout(function () {
      console.log("callback's this: ", this); // window
      console.log("callback's this.value: ", this.value); // 1
    }, 100);
  }
};

obj.foo();

메서드 내부 중첩 함수나 콜백 함수에 this바인딩을 메서드의 this와 일치 시키기 위한 방법은 아래 3가지가 있다.

1)that사용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 this 바인딩(obj)을 변수 that에 할당한다.
    const that = this;

    // 콜백 함수 내부에서 this 대신 that을 참조한다.
    setTimeout(function () {
      console.log(that.value); // 100
    }, 100);
  }
};

obj.foo();

2)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메서드 활용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 콜백 함수에 명시적으로 this를 바인딩한다.
    setTimeout(function () {
      console.log(this.value); // 100
    }.bind(this), 100);
  }
};

obj.foo();

3)화살표 함수 활용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는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가리킨다.
    setTimeout(() => console.log(this.value), 100); // 100
  }
};

obj.foo();

2.2 메서드 호출

메서드 내부의 this에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즉 메서드를 호출할 때 메서드 이름 앞의 마침표. 연산자 앞에 기술한 객체가 바인딩된다.

주의할 것은 메서드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소유한 객체가 아닌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 된다는 것이다.

const person = {
  name: 'Lee',
  getName() {
    // 메서드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된다.
    return this.name;
  }
};

// 메서드 getName을 호출한 객체는 person이다.
console.log(person.getName()); // Lee

만약 getName메서드를 일반 변수에 할당하여 호출하면 일반 함수로 호출된다.

const person = {
  name: 'Lee',
  getName() {
    return this.name;
  }
};

const anotherPerson = {
  name: 'Kim'
};
// getName 메서드를 anotherPerson 객체의 메서드로 할당
anotherPerson.getName = person.getName;

// getName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는 anotherPerson이다.
console.log(anotherPerson.getName()); // Kim

// getName 메서드를 변수에 할당
const getName = person.getName;

// getName 메서드를 일반 함수로 호출
console.log(getName()); // ''
// 일반 함수로 호출된 getName 함수 내부의 this.name은 브라우저 환경에서 window.name과 같다.
// 브라우저 환경에서 window.name은 브라우저 창의 이름을 나타내는 빌트인 프로퍼티이며 기본값은 ''이다.
// Node.js 환경에서 this.name은 undefined다.

프로토타입 메서드 내부에서 사용된 this도 일반 메서드와 동일하게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에 바인딩 된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Person.prototype.getName = function () {
  return this.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getName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는 me다.
console.log(me.getName()); // ① Lee

Person.prototype.name = 'Kim';

// getName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는 Person.prototype이다.
console.log(Person.prototype.getName()); // ② Kim

①의 경우 getName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는 me이다. 따라서 getName메서드 내부의 thisme를 가리키며 this.name값은 Lee다.

②의 경우 getName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는 Person.prototype이고, 객체이므로 직접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따라서 getName메서드 내부의 thisPerson.prototype을 가리키며 this.name값은 Kim이다.

2.3 생성자 함수 호출

생성자 함수 내부의 this에는 생성자 함수가 (미래에) 생성할 인스턴스가 바인딩된다.

// 생성자 함수
function Circle(radius) {
  // 생성자 함수 내부의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this.radius = radius;
  this.getDiameter = function () {
    return 2 * this.radius;
  };
}

// 반지름이 5인 Circle 객체를 생성
const circle1 = new Circle(5);
// 반지름이 10인 Circle 객체를 생성
const circle2 = new Circle(10);

console.log(circle1.getDiameter()); // 10
console.log(circle2.getDiameter()); // 20

new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지 않으면 일반 함수로 호출된다.
Circle함수에 반환 값이 없으면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 ※ 17장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참조

// 생성자 함수
function Circle(radius) {
  // 생성자 함수 내부의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this.radius = radius;
  this.getDiameter = function () {
    return 2 * this.radius;
  };
}

//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지 않으면 생성자 함수로 동작하지 않는다. 즉, 일반적인 함수의 호출이다.
const circle3 = Circle(15);

// 일반 함수로 호출된 Circle에는 반환문이 없으므로 암묵적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
console.log(circle3); // undefined

// 일반 함수로 호출된 Circle 내부의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console.log(radius); // 15

일반 함수로 호출된 경우 Circle내부의 this는 전역 객체window를 가리키기 때문에 this.radius는 결국 window.radius가 되어 console.log(radius);를 실행하면 window.radius값이 리턴되어 출력되게된다.

2.4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 메서드에 의한 간접 호출

apply, call, bind메서드는 Function.prototype의 메서드다. 즉, 이들 메서드는 모든 함수가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다.


1)Function.prototype.apply, Function.prototype.call 메서드
applycall메서드는 함수에 this로 사용할 객체를 전달하고 함수를 호출한다.

/**
 * 주어진 this 바인딩과 인수 리스트 배열을 사용하여 함수를 호출한다.
 * @param thisArg - this로 사용할 객체
 * @param argArray - 함수에게 전달할 인수 리스트의 배열 또는 유사 배열 객체
 * @returns 호출된 함수의 반환값
 */
Function.prototype.apply(thisArg[, argsArray])

/**
 * 주어진 this 바인딩과 ,로 구분된 인수 리스트를 사용하여 함수를 호출한다.
 * @param thisArg - this로 사용할 객체
 * @param arg1, agr2, ... - 함수에게 전달할 인수 리스트
 * @returns 호출된 함수의 반환값
 */
Function.prototype.call(thisArg[, arg1[, arg2[, ...]]])
function getThisBinding() {
  return this;
}

// this로 사용할 객체
const thisArg = { a: 1 };

console.log(getThisBinding()); // window

// getThisBinding 함수를 호출하면서 인수로 전달한 객체를 getThisBinding 함수의 this에 바인딩한다.
console.log(getThisBinding.apply(thisArg)); // {a: 1}
console.log(getThisBinding.call(thisArg)); // {a: 1}

위 예제는 특정 객체만 전달하고 인수 리스트는 전달하지 않는다.

applycall 메서드의 본질적인 기능은 동일하다. 다만 인수를 전달하는 방식만 다르다.
아래 예제를 통해 인수 전달을 살펴보자.

function getThisBinding() {
  console.log(arguments);
  return this;
}

// this로 사용할 객체
const thisArg = { a: 1 };

// getThisBinding 함수를 호출하면서 인수로 전달한 객체를 getThisBinding 함수의 this에 바인딩한다.
// apply 메서드는 호출할 함수의 인수를 배열로 묶어 전달한다.
console.log(getThisBinding.apply(thisArg, [1, 2, 3]));
// Arguments(3) [1, 2, 3, callee: ƒ, Symbol(Symbol.iterator): ƒ]
// {a: 1}

// call 메서드는 호출할 함수의 인수를 쉼표로 구분한 리스트 형식으로 전달한다.
console.log(getThisBinding.call(thisArg, 1, 2, 3));
// Arguments(3) [1, 2, 3, callee: ƒ, Symbol(Symbol.iterator): ƒ]
// {a: 1}

apply메서드는 함수의 인수를 배열로 묶어 전달하고,
call메서드는 함수의 인수를 쉼표로 구분한 리스트 형식으로 전달한다.

applycall 메서드의 대표적인 용도는 arguments객체와 같은 유사 배열 객체에 배열 메서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arguments객체의 자세한 내용은 18.2.1 절 arguments프로퍼티를 참고하자.

arguments객체는 배열이 아니기 때문에(유사 배열) Array.prototype.slice같은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으나, applycall메서드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function convertArgsToArray() {
  console.log(arguments);

  // arguments 객체를 배열로 변환
  // Array.prototype.slice를 인수없이 호출하면 배열의 복사본을 생성한다.
  const arr = Array.prototype.slice.call(arguments);
  // const arr = Array.prototype.slice.apply(arguments);
  console.log(arr);

  return arr;
}

convertArgsToArray(1, 2, 3); // [1, 2, 3]

2) Function.prototype.bind 메서드
bind메서드는 applycall메서드와 달리 함수를 호출하지는 않고 this로 사용할 객체만 전달한다.(명시적으로 호출()을 해줘야 함)

function getThisBinding() {
  return this;
}

// this로 사용할 객체
const thisArg = { a: 1 };

// bind 메서드는 첫 번째 인수로 전달한 thisArg로 this 바인딩이 교체된
// getThisBinding 함수를 새롭게 생성해 반환한다.
console.log(getThisBinding.bind(thisArg)); // getThisBinding

// bind 메서드는 함수를 호출하지는 않으므로 명시적으로 호출해야 한다.
console.log(getThisBinding.bind(thisArg)()); // {a: 1}

bind함수는 메서드의 this와 메서드 내부의 중첩 함수 또는 콜백 함수의 this가 불일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된다.

const person = {
  name: 'Lee',
  foo(callback) {
    // ①
    setTimeout(callback, 100);
  }
};

person.foo(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② Hi! my name is .
  // 일반 함수로 호출된 콜백 함수 내부의 this.name은 브라우저 환경에서 window.name과 같다.
  // 브라우저 환경에서 window.name은 브라우저 창의 이름을 나타내는 빌트인 프로퍼티이며 기본값은 ''이다.
  // Node.js 환경에서 this.name은 undefined다.
});

person.foo 메서드가 호출되는 ①의 시점, 콜백 함수가 호출되기 직전의 this값은 foo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즉 person이다.

하지만 콜백 함수가 호출된 ②의 시점에서 this는 전역 객체 window를 가리킨다. 따라서 person.foo의 콜백 함수 내부에서 this.namewindow.name과 같다.

person.foo의 콜백 함수는 외부 함수 person.foo를 돕는 헬퍼 함수(보조 함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 함수 person.foo 내부의 this와 콜백 함수 내부의 this가 상이하면 문맥상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경우 bind메서드를 사용해 이를 해결한다.

const person = {
  name: 'Lee',
  foo(callback) {
    // bind 메서드로 callback 함수 내부의 this 바인딩을 전달
    setTimeout(callback.bind(this), 100);
  }
};

person.foo(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Hi! my name is Lee.
});

혹은, 콜백 함수를 화살표 함수로 선언해 해결이 가능하다.
참고로 화살표 함수는 자체의 this, arguments, super, new.target 바인딩을 갖지 않기 때문에 스코프 체인을 따라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그대로 참조 한다. 이를 lexical this라고 한다.

아래와 같은 예제는 화살표 함수를 인수로 전달하기 때문에 person.foo메서드가 호출되면, foo함수 객체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매개변수(callback)도 평가되고 화살표 함수 객체가 생성된다.(이때 렉시컬 스코프가 결정된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callback)의 상위 스코프는 person.foo함수가 되어, 화살표 함수의 thisperson.foo함수에 바인딩된 this가 되고, 이thisperson을 가리키게 된다.

const person = {
  name: 'Lee',
  foo(callback) {
    // bind 메서드로 callback 함수 내부의 this 바인딩을 전달
    setTimeout(callback, 100);
  }
};

person.foo(()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Hi! my name is Lee.
});

3.정리

함수 호출 방식에 따라 this바인딩이 동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자.

함수 호출 방식 this바인딩
일반 함수 호출 전역 객체
메서드 호출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
생성자 함수 호출 생성자 함수가 (미래에)생성할 인스턴스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 메서드에 의한 간접 호출 Function.prototype.apply/call/bind 메서드에 첫 번째 인수로 전달된 객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