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 19장 프로토타입

Updated:


19장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는 멀티 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언어다.
명령형imperative, 함수형functional, 프로토타입 기반prototype-based,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ejct 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한다.

※ 클래스(class) ES6에서 클래스가 도입되었다.
클래스도 함수이며, 기존 프로토타입 기반 패턴의 문법적 설탕(syntatic sugar)이라고 볼 수 있다.
클래스와 생성자 함수는 모두 프로토타입 기반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지만 정확히 동일하게 동작하지는 않는다. 클래스는 생성자 함수보다 엄격하며 생성자 함수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도 제공한다.
따라서, 클래스를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 생성 패턴의 단순한 문법적 설탕으로 보기보다는 새로운 객체 생성 메커니즘으로 보는것이 좀 더 합당하다.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이루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 타입(primitive type)의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등)은 모두 객체다.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명렁어 또는 함수의 목록으로 보는 전통적인 명령형 프로그래밍(imperative programming)의 절차지향적 관점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독립적 단위인 객체(object)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려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말한다.

“사람”에게는 다양한 속성이 있으나 우리가 구현하려는 프로그램에서는 사람의 “이름”과 “주소”라는 속성에만 관심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처럼 다양한 속성 중에서 프로그램에 필요한 속성만 간추려 내어 표현하는 것을 추상화abstraction라 한다.

// 이름과 주소 속성을 갖는 객체
const person = {
  name: 'Lee',
  address: 'Seoul'
};

console.log(person); // {name: "Lee", address: "Seoul"}

이름과 주소 속성으로 표현된 객체(object)인 person을 다른 객체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속성을 통해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를 객체라고 하며, 이러한 객체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려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객체는 상태(state)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을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객체의 상태 데이터를 프로퍼티(property), 동작을 메서드(method)라고 부른다.

const circle = {
  // property
  radius: 5, // 반지름

  // method
  // 원의 지름: 2r
  getDiameter() {
    return 2 * this.radius;
  },

  // method
  // 원의 둘레: 2πr
  getPerimeter() {
    return 2 * Math.PI * this.radius;
  },

  // method
  // 원의 넓이: πrr
  getArea() {
    return Math.PI * this.radius ** 2;
  }
};

console.log(circle);
// {radius: 5, getDiameter: ƒ, getPerimeter: ƒ, getArea: ƒ}

console.log(circle.getDiameter());  // 10
console.log(circle.getPerimeter()); // 31.41592653589793
console.log(circle.getArea());      // 78.53981633974483

2.상속과 프로토타입

상속(inheritance)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이다.
어떤 객체의 프로퍼티 또는 메서드를 다른 객체가 상속받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상속을 구현하여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한다.

메서드를 중복으로 생성하고 중복으로 소유하는 예제

// 생성자 함수
function Circle(radius) {
  this.radius = radius;
  this.getArea = function () {
    // Math.PI는 원주율을 나타내는 상수다.
    return Math.PI * this.radius ** 2;
  };
}

// 반지름이 1인 인스턴스 생성
const circle1 = new Circle(1);
// 반지름이 2인 인스턴스 생성
const circle2 = new Circle(2);

// Circle 생성자 함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마다 동일한 동작을 하는
// getArea 메서드를 중복 생성하고 모든 인스턴스가 중복 소유한다.
// getArea 메서드는 하나만 생성하여 모든 인스턴스가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nsole.log(circle1.getArea === circle2.getArea); // false

console.log(circle1.getArea()); // 3.141592653589793
console.log(circle2.getArea()); // 12.566370614359172

getArea 메서드를 중복 생성하고 모든 인스턴스가 중복 소유한다.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상속을 구현한 예제

// 생성자 함수
function Circle(radius) {
  this.radius = radius;
}

// Circle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모든 인스턴스가 getArea 메서드를
//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토타입에 추가한다.
// 프로토타입은 Circle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에 바인딩되어 있다.
Circle.prototype.getArea = function () {
  return Math.PI * this.radius ** 2;
};

// 인스턴스 생성
const circle1 = new Circle(1);
const circle2 = new Circle(2);

// Circle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모든 인스턴스는 부모 객체의 역할을 하는
// 프로토타입 Circle.prototype으로부터 getArea 메서드를 상속받는다.
// 즉, Circle 생성자 함수가 생성하는 모든 인스턴스는 하나의 getArea 메서드를 공유한다.
console.log(circle1.getArea === circle2.getArea); // true

console.log(circle1.getArea()); // 3.141592653589793
console.log(circle2.getArea()); // 12.566370614359172

Circle.prototype.getArea = function () {...}를 보면 Circle생성자 함수의 prototype프로퍼티에 바인딩되어 있다. 즉, 생성자 함수의 프로토타입 객체에 getArea메서드를 생성해 놓아서 생성되는 인스턴스들이 중복으로 소유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Circle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모든 인스턴스의 상위(부모) 객체 역하을 하는 Circle.prototype의 모든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상속받는다.

3.프로토타입 객체

모든 객체는 [[Prototype]]이라는 내부 슬롯을 가진다.
이 내부 슬롯의 값은 프로토타입의 참조다. [[Prototype]]에 저장되는 프로토타입은 객체 생성 방식에 의해 결정되고 저장된다.

[[Prototype]] 내부슬롯은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로 접근할 수 있다.

생성자 함수 객체의 [[Prototype]]
image

생성자 함수로 생성된 객체의 [[Prototype]]
image

일반 객체의 [[Prototype]]
image

모든 객체는 하나의 프로토타입을 갖는다. 그리고 모든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와 연결되어 있다. 즉, 객체와 프로토타입과 생성자 함수는 다임 그림과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image

[[Prototype]]내부 슬롯에는 직접 접근할 수 없지만, 위 그림처럼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자신의 프로토타입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은 자신의 constructor프로퍼티를 통해 생성자 함수에 접근할 수 있고,
생성자 함수는 자신의 prototype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에 접근할 수 있다.

3.1 proto 접근자 프로퍼티

모든 객체는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자신의 프로토타입, 즉 [[Prototype]]내부 슬롯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1)__proto__는 접근자 프로퍼티다.
16장 3.2 절의 접근자 프로퍼티에서 살펴본 것처럼 접근자 프로퍼티는 자체적인 값[[Value]]을 갖지 않고, 접근자 함수[[Get]], [[Set]] 프로퍼티 어트리뷰트로 구성된 프로퍼티다.

image

const obj = {};
const parent = { x: 1 };

// getter 함수인 get __proto__가 호출되어 obj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취득
obj.__proto__;
// setter함수인 set __proto__가 호출되어 obj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교체
obj.__proto__ = parent;

console.log(obj.x); // 1


2)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는 상속을 통해 사용된다.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는 객체가 직접 소유하는 프로퍼티가 아니라 Object.prototype의 프로퍼티이다. 상속을 통해 Object.prototype.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다.

const person = { name: 'Lee' };

// person 객체는 __proto__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console.log(person.hasOwnProperty('__proto__')); // false

// __proto__ 프로퍼티는 모든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인 Object.prototype의 접근자 프로퍼티다.
console.log(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Object.prototype, '__proto__'));
// {get: ƒ, set: ƒ, enumerable: false, configurable: true}

// 모든 객체는 Object.prototype의 접근자 프로퍼티 __proto__를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다.
console.log({}.__proto__ === Object.prototype); // true


3)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에 접근하는 이유
[[Prototype]]내부 슬롯의 값에 접근할때 접근자 프로퍼티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호 참조에 의해 프로토 타입 체인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상호 참조(순환 참조)를 시도하면 TypeError를 발생시킨다.
단방향 링크드 리스트로 구현되어야 한다.

const parent = {};
const child = {};

// child의 프로토타입을 parent로 설정
child.__proto__ = parent;
// parent의 프로토타입을 child로 설정
parent.__proto__ = child; // TypeError: Cyclic __proto__ value


4)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코드 내에서 직접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ES5까지는 비표준이었다. 하지만 일부 브라우저에서 __proto__를 지원해 호환성을 위해 ES6에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하지만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를 코드내에서 직접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모든 객체가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직접 상속을 통해 Object.prototype을 상속받지 않는 객체를 생성할 수 있어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오가 있다.

// obj는 프로토타입 체인의 종점이다. 따라서 Object.__proto__를 상속받을 수 없다.
const obj = Object.create(null);

// obj는 Object.__proto__를 상속받을 수 없다.
console.log(obj.__proto__); // undefined

// 따라서 Object.getPrototypeOf 메서드를 사용하는 편이 좋다.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null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 대신 프로토타입의 참조를 취득하고 싶은경우 Object.getPrototypeOf메서드를 사용하고,
프로토타입을 교체하고 싶은 경우 Obejct.setPrototypeOf메서드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const obj = {};
const parent = { x: 1 };

// obj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취득
Object.getPrototypeOf(obj); // obj.__proto__;
// obj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교체
Object.setPrototypeOf(obj, parent); // obj.__proto__ = parent;

console.log(obj.x); // 1

Object.getPrototypeOfget Object.prototype.__proto__와 일치 Object.setPrototypeOfset Object.prototype.__proto__와 일치

3.2 함수 객체의 prototype 프로퍼티

함수 객체만이 소유하는 prototype프로퍼티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을 가리킨다.

// 함수 객체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한다.
(function () {}).hasOwnProperty('prototype'); // -> true

// 일반 객체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hasOwnProperty('prototype'); // -> false

함수객체 image

일반객체 image

prototype프로퍼티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객체(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을 가리킨다.
따라서 생성자 함수로 호출할 수 없는 함수, 즉 non-constructor화살표함수, ES6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한 메서드prototype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으며 프로토타입도 생성하지 않는다.

// 화살표 함수는 non-constructor다.
const Person = name => {
  this.name = name;
};

// non-constructor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console.log(Person.hasOwnProperty('prototype')); // false

// non-constructor는 프로토타입을 생성하지 않는다.
console.log(Person.prototype); // undefined

// ES6의 메서드 축약 표현으로 정의한 메서드는 non-constructor다.
const obj = {
  foo() {}
};

// non-constructor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소유하지 않는다.
console.log(obj.foo.hasOwnProperty('prototype')); // false

// non-constructor는 프로토타입을 생성하지 않는다.
console.log(obj.foo.prototype); // undefined

화살표 함수(prototype프로퍼티 없음)
image

ES6 메서드(prototype프로퍼티 없음)
image

구분 소유 사용 주체 사용 목적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
모든 객체 프로토타입의 참조 모든 객체 객체가 자신의 프로토타입에 접근 또는 교체하기 위해 사용
prototype
프로퍼티
constructor 프로토타입의 참조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가 자신이 생성할 객체(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 === 함수 객체의 prototype프로퍼티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결국 Person.prototype과 me.__proto__는 결국 동일한 프로토타입을 가리킨다.
console.log(Person.prototype === me.__proto__);  // true

image

3.3 프로토타입의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모든 프로토타입은 constructor프로퍼티를 갖는다.
constructor프로퍼티는 prototype프로퍼티로 자신을 참조하고 있는 생성자 함수를 가리킨다.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me 객체의 생성자 함수는 Person이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true

me객체에는 constructor프로퍼티가 없다.
me객체의 프로토타입인 me.__proto__ 즉, Person.prototype에는 constructor프로퍼티가 있어 이를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다.

4.리터럴 표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

new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리터럴 표기법에 의한 객체 생성 방식이 있다.

리터럴로 생성하는 방식

// 객체 리터럴
const obj = {};

// 함수 리터럴
const add = function (a, b) { return a + b; };

// 배열 리터럴
const arr = [1, 2, 3];

// 정규표현식 리터럴
const regexp = /is/ig;

리터럴 표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도 물론 프로토타입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객체는 constructor프로퍼티가 가리키는 생성자 함수가 반드시 객체를 생성한 함수라고 단정할 수 없다.

// obj 객체는 Object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 객체가 아니라 객체 리터럴로 생성했다.
const obj = {};

// 하지만 obj 객체의 생성자 함수는 Object 생성자 함수다.
console.log(obj.constructor === Object); // true

위 예제같은 경우 객체 리터럴로 생성한 객체의 constructor프로퍼티는 Object생성자 함수와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리터럴로 생성한 객체와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 객체의 constructor프로퍼티를 확인하면 동일해 보이지만 객체가 생성되는 방식은 다르다.

아래 두가지 방식을 비교해 보며 확인해보자.

Object생성자 함수로 객체 생성
https://262.ecma-international.org/11.0/#sec-object-value

image

2번에서 생성자 함수에 인수를 전달하지 않고나 undefined, null을 인수로 전달하여 호출하면 추상연산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하여 Object.prototype을 프로토타입으로 갖는 빈 객체를 생성한다.

// 1. new.target이 undefined나 Object가 아닌 경우
// 인스턴스 -> Foo.prototype -> Object.prototype 순으로 프로토타입 체인이 생성된다.
class Foo extends Object {}
new Foo(); // Foo {}

// 2. Object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 Object 생성자 함수는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지 않아도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 인수가 전달되지 않았을 때 추상 연산 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하여 빈 객체를 생성한다.
let obj = new Object();
console.log(obj); // {}

// 3. 인수가 전달된 경우에는 인수를 객체로 변환한다.
// Number 객체 생성
obj = new Object(123);
console.log(obj); // Number {123}

// String  객체 생성
obj = new Object('123');
console.log(obj); // String {"123"}

※ 객체리터럴로 객체 생성
https://262.ecma-international.org/11.0/#sec-object-initializer-runtime-semantics-evaluation

image

객체 리터럴이 평가될 때에도 위와 같이 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하여 빈 객체를 생성하고 프로퍼티를 추가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이처럼 Object생성자 함수 호출과 객체 리터럴의 평가는 추상연산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하여 빈 객체를 생성하는 점에서 동일하나, new.target의 확인이나 프로퍼티를 추가하는 처리 등 세부내용은 다르다.

따라서 객체 리터럴에 의해 생성된 객체는 Object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객체가 아니다.

이런 차이는 함수 객체의 경우 더 명확하다.
12.4.4절 Function 생성자 함수에서 보았듯이 Function생성자 함수를 호출해 생성한 함수는 렉시컬 스코프를 만들지 않고 전역함수인 것처럼 스코프를 생성하며, 클로저도 만들지 않는다.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을 평가하여 함수 객체를 생성한 것은 Function생성자 함수가 아니다! 하지만 constructor프로퍼티를 통해 확인해 보면 foo함수의 생성자 하뭇는 Function생성자 함수다.

// foo 함수는 Function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 함수 객체가 아니라 함수 선언문으로 생성했다.
function foo() {}

// 하지만 constructor 프로퍼티를 통해 확인해보면 함수 foo의 생성자 함수는 Function 생성자 함수다.
console.log(foo.constructor === Function); // true
리터럴 표기법 생성자 함수 프로토타입
객체 리터럴 Object Object.prototype
함수 리터럴 Function Function.prototype
배열 리터럴 Array Array.prototype
정규식 리터럴 RegExp RegExp.prototype

5.프로토타입의 생성 시점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가 생성되는 시점에 더불어 생성된다.
프로토타입과 생성자 함수는 단독으로 존재할 수 없고 항상 쌍으로 존재한다.

5.1 사용자 정의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 생성 시점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이 가능한 함수. 즉 constructor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도 더불어 생성된다.

// 호이스팅으로 선언문에 도달하기 전에 함수 객체가 생성된다.
// 함수 정의(constructor)가 평가되어 함수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도 더불어 생성된다.
console.log(Person.prototype); // {constructor: ƒ}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image

사용자 정의 생성자 함수로 생성된 프로토타입의 프로토타입은 언제나 Object.prototype이다.

5.2 빌트인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 생성 시점

Object, Striong, Number, Function, Array, RegExp, Date, Promise등과 같은 빌트인 생성자 함수도 일반 함수와 마찬가지로 빌트인 생성자 함수가 생성되는 시점에 프로토타입이 생성된다.

모든 빌트인 생성자 함수는 전역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 생성된다.

객체가 생성되기 이전에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은 이미 객체화 되어 존재한다.
이후 생성자 함수 또는 리터럴 표기법으로 객체를 생성하면 프로토타입은 생성된 객체의 [[Prototype]]내부 슬롯에 할당된다.

6.객체 생성 방식과 프로토타입의 결정

  • 객체 리터럴
  • Object생성자 함수
  • 생성자 함수
  • Object.create메서드
  • 클래스(ES6)

위와 같이 여러가지 객체 생성 방식이 있으나 모두 추상연산OrdinaryObjectCreate에 의해 생성된다.

※ 추상연산OrdinaryObjectCreate에 의한 객체 생성 순서

  1. 생성할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인수로 전달 받는다.
  2. 자신이 생성할 객체에 추가할 프로퍼티 목록을 옵션으로 전달한다.
  3. 빈 객체를 생성한다.
  4. 객체에 추가할 프로퍼티 목록이 인수로 전달된 경우 객체에 프로퍼티를 추가한다.
  5. 인수로 전달받은 프로토타입을 생성한 객체의 [[Prototype]]내부 슬롯에 할당한다.
  6. 생성한 객체를 반환한다.

6.1 객체 리터럴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

const obj = { x: 1 };

위 예제의 경우

  • 객체 리터럴을 평가한다.
  • 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한다.
  • 이때 전달되는 프로토타입은 Object.prototype이다

결국 Object.prototype을 프로토타입으로 갖으므로 obj객체는 constructor, hasOwnProperty메서드 등을 소유하지 않지만 사용할 수 있다.

const obj = { x: 1 };

// 객체 리터럴에 의해 생성된 obj 객체는 Object.prototype을 상속받는다.
console.log(obj.constructor === Object); // true
console.log(obj.hasOwnProperty('x'));    // true

6.2 Object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

const obj = new Object();
obj.x = 1;

// Object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obj 객체는 Object.prototype을 상속받는다.
console.log(obj.constructor === Object); // true
console.log(obj.hasOwnProperty('x'));    // true

객체 리터럴과 Object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결과는 동일하다.
하지만 프로퍼티를 추가하는 방식이 차이점이다.
객체 리터럴은 리터럴 내부에 프로퍼티를 추가하지만,
Object생성자 함수 방식은 일단 빈 객체를 생성한 이후 프로퍼티를 추가해야 한다.

6.3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

new연산자와 함께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도 마찬가지로 추상연산OrdinaryObjectCreate가 호출된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image

객체의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와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 사이에 생성되여 둘 사이를 연결한다.

7. 프로토타입 체인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프로토타입 체인을 따라 프로퍼티/메서드를 검색한다.
객체간의 상속관계로 이루어진 프로토타입의 계층적인 구조에서 객체의 프로퍼티를 검색한다.

프로토타입 체인은 상속과 프로퍼티 검색을 위한 메커니즘이다.

이에 반해 식별자는 스코프 체인에서 검색한다.
함수의 중첩 관계로 이루어진 스코프의 계층적 구조에서 식별자를 검색한다.

스코프 체인은 식별자 검색을 위한 메커니즘이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ello = 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hasOwnProperty는 Object.prototype의 메서드다.
console.log(me.hasOwnProperty('name')); // true
Object.getPrototypeOf(me) === Person.prototype; // -> true

Object.getPrototypeOf(Person.prototype) === Object.prototype; // -> true

image

8.오버라이딩과 프로퍼티 섀도잉

오버라이딩(overriding)은 프로토타입에 메서드가 존재하는데, 인스턴스에 같은 메서드를 추가해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스턴스에서 오버라이딩하여 사용하면 프로토타입 메서드는 가려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섀도잉(property shadowing)이라고 한다.

※ 오버라이딩(overriding)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방식

※ 오버로딩(overloading)
함수의 이름은 동일하지만 매개변수의 타입 또는 개수가 다른 메서드를 구현하고,
매개변수에 의해 메서드를 구별하여 호출하는 방식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오버로딩을 지원하지 않지만 arguments객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는 있다.

const Person = (function () {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ello = 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생성자 함수를 반환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 인스턴스 메서드
me.sayHello = function () {
  console.log(`Hey! My name is ${this.name}`);
};

// 인스턴스 메서드가 호출된다. 프로토타입 메서드는 인스턴스 메서드에 의해 가려진다.
me.sayHello(); // Hey! My name is Lee

위 예제에서 me.sayHello = funciton() {...}로 오버라이딩(재정의)해서 사용하게 되면 Person.prototype.sayHello메서드가 가려져 섀도잉이 일어나게 된다.

만약 프로퍼티를 삭제하는 경우
인스턴스 메서드는 아래와 같이 삭제한다.

// 인스턴스 메서드를 삭제한다.
delete me.sayHello;
// 인스턴스에는 sayHello 메서드가 없으므로 프로토타입 메서드가 호출된다.
me.sayHello(); // Hi! My name is Lee

프로토타입 프로퍼티(메서드)를 변경, 삭제하는 경우

// 프로토타입 메서드 변경
Person.prototype.sayHello = function () {
  console.log(`Hey! My name is ${this.name}`);
};
me.sayHello(); // Hey! My name is Lee

// 프로토타입 메서드 삭제
delete Person.prototype.sayHello;
me.sayHello(); // TypeError: me.sayHello is not a function

9.프로토타입의 교체

프로토타입은 임의의 다른 객체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부모 객체인 프로토타입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의미다. 즉, 객체 간의 상속 관계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뜻이다.

9.1 생성자 함수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교체

const Person = (function () {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①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교체
  Person.prototype = {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①에서 Person.prototype에 객체 리터럴을 할당했다.

image

객체 리터럴에는 constructor프로퍼티가 없다. 따라서 me객체의 생성자함수constructor를 검색하면 Person이 아니라 Object가 나온다.

// 프로토타입을 교체하면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이 파괴된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false
// 프로토타입 체인을 따라 Object.prototype의 constructor 프로퍼티가 검색된다.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true

이러면 constructor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간의 연결이 파괴된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②의 constructor: Person,을 추가해 줘 연결을 되살린다.

const Person = (function () {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교체
  Person.prototype = {
    // ②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을 설정
    constructor: Person,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 constructor 프로퍼티가 생성자 함수를 가리킨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true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false

9.2 인스턴스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교체

프로토 타입은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프로퍼티 뿐만 아니라 인스턴스의 __proto__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서도 접근할수 있다.

생성할때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생성된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교체한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할 객체
const parent = {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 ① me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parent 객체로 교체한다.
Object.setPrototypeOf(me, parent);
// 위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 me.__proto__ = parent;

me.sayHello(); // Hi! My name is Lee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이렇게 된다. image

교체한 객체에는 constructor프로퍼티가 없어 생성자 함수간의 연결이 파괴된다.

// 프로토타입을 교체하면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이 파괴된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false
// 프로토타입 체인을 따라 Object.prototype의 constructor 프로퍼티가 검색된다.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true

※ 생성자 함수에 의한 프로토타입 교체 vs 인스턴스에 의한 프로토타입 교체 image

인스턴스에 의한 프로토타입 교체하는 경우 생성자 함수와의 연결까지 살리려면 아래와 같이 해야 한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할 객체
const parent = {
  // ①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을 설정
  constructor: Person,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 ②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와 프로토타입 간의 연결을 설정
Person.prototype = parent;

// ③ me 객체의 프로토타입을 parent 객체로 교체한다.
Object.setPrototypeOf(me, parent);
// 위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 me.__proto__ = parent;

me.sayHello(); // Hi! My name is Lee

// constructor 프로퍼티가 생성자 함수를 가리킨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true
console.log(me.constructor === Object); // false

//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가 교체된 프로토타입을 가리킨다.
console.log(Person.prototype === Object.getPrototypeOf(me)); // true

parent객체에 constructor프로퍼티와 Person생성자 함수를 연결
Person생성자 함수의 prototype프로퍼티를 바꿀 프로토타입으로 연결
me인스턴스의 프로토타입을 parent로 변경

위와 같은 작업으로 상속 관계를 동적으로 바꾸는 것은 번거롭다.
그러므로 ES6에서 도입된 클래스를 사용해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상속관계를 구현하는 편이 낫다.

10.instanceof 연산자

instanceof연산자는 이항 연산자로
좌변에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 우변에 생성자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
피연산자로 받는다.

만약 우변의 피연산자가 함수가 아니면 TypeError가 발생한다.

객체 instanceof 생성자 함수

우변의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에 바인딩된 객체가 좌변의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면 true, 존재하지 않으면 false가 평가된다.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const me = new Person('Lee');

// Person.prototype이 me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므로 true로 평가된다.
console.log(me instanceof Person); // true

// Object.prototype이 me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므로 true로 평가된다.
console.log(me instanceof Object); // true

image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간의 연결이 파괴되어도 instanceof연산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지 프로토타입 체인만 보기 때문에)

const Person = (function () {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교체
  Person.prototype = {
    sayHello()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return Person;
}());

const me = new Person('Lee');

// constructor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 간의 연결은 파괴되어도 instanceof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console.log(me.constructor === Person); // false

// Person.prototype이 me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므로 true로 평가된다.
console.log(me instanceof Person); // true
// Object.prototype이 me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므로 true로 평가된다.
console.log(me instanceof Object); // true

11. 직접 상속

11.1 Object.create에 의한 직접 상속

Object.create메서드는 명시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지정하여 새로운 객체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추상연산OrdinaryObjectCreate를 호출하여 객체를 생성한다.

Object.create메서드로 객체를 생성할 때 장점

  • new연산자 없이도 객체 생성
  • 프로토타입을 지정하면서 객체 생성
  • 객체 리터럴에 의해 생성된 객체도 상속 가능
// 프로토타입이 null인 객체를 생성한다. 생성된 객체는 프로토타입 체인의 종점에 위치한다.
// obj → null
let obj = Object.create(null);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null); // true
// Object.prototype을 상속받지 못한다.
console.log(obj.toString()); // TypeError: obj.toString is not a function

// obj → Object.prototype → null
// obj = {};와 동일하다.
obj = Object.create(Object.prototype);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Object.prototype); // true

// obj → Object.prototype → null
// obj = { x: 1 };와 동일하다.
obj = Object.create(Object.prototype, {
  x: { value: 1, writable: true, enumerable: true, configurable: true }
});
// 위 코드는 다음과 동일하다.
// obj = Object.create(Object.prototype);
// obj.x = 1;
console.log(obj.x); // 1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Object.prototype); // true

const myProto = { x: 10 };
// 임의의 객체를 직접 상속받는다.
// obj → myProto → Object.prototype → null
obj = Object.create(myProto);
console.log(obj.x); // 10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myProto); // true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obj → Person.prototype → Object.prototype → null
// obj = new Person('Lee')와 동일하다.
obj = Object.create(Person.prototype);
obj.name = 'Lee';
console.log(obj.name); // Lee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Person.prototype); // true

Object.prototype의 빌트인 메서드를 객체가 직접 호출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Object.create메서드를 통해 프로토타입 체인의 종점에 위치하는 객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Obejct.create(null);로 생성하는 경우)

image

프로토타입이 null이어서 아무것도 없다. (__proto__프로퍼티도 없음.)

// 프로토타입이 null인 객체, 즉 프로토타입 체인의 종점에 위치하는 객체를 생성한다.
const obj = Object.create(null);
obj.a = 1;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null); // true

// obj는 Object.prototype의 빌트인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다.
console.log(obj.hasOwnProperty('a')); // TypeError: obj.hasOwnProperty is not a function

객체가 직접 호출하지 않고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call()메서드를 활용해 호출한다.

// 프로토타입이 null인 객체를 생성한다.
const obj = Object.create(null);
obj.a = 1;

// console.log(obj.hasOwnProperty('a')); // TypeError: obj.hasOwnProperty is not a function

// Object.prototype의 빌트인 메서드는 객체로 직접 호출하지 않는다.
console.log(Object.prototype.hasOwnProperty.call(obj, 'a')); // true

11.2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 __proto__에 의한 직접 상속

ES6에서는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사용해 직접 상속을 구현할 수 있다.

const myProto = { x: 10 };

// 객체 리터럴에 의해 객체를 생성하면서 프로토타입을 지정하여 직접 상속받을 수 있다.
const obj = {
  y: 20,
  // 객체를 직접 상속받는다.
  // obj → myProto → Object.prototype → null
  __proto__: myProto
};
/* 위 코드는 아래와 동일하다.
const obj = Object.create(myProto, {
  y: { value: 20, writable: true, enumerable: true, configurable: true }
});
*/

console.log(obj.x, obj.y); // 10 20
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bj) === myProto); // true

12.정적 프로퍼티/메서드

정적(static)프로퍼티/메서드는 생성자 함수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아도 참조/호출할 수 있는 프로퍼티/메서드이다.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프로토타입 메서드
Person.prototype.sayHello = function () {
  console.log(`Hi! My name is ${this.name}`);
};

// ① 정적 프로퍼티
Person.staticProp = 'static prop';

// ② 정적 메서드
Person.staticMethod = function () {
  console.log('staticMethod');
};

const me = new Person('Lee');

// 생성자 함수에 추가한 정적 프로퍼티/메서드는 생성자 함수로 참조/호출한다.
Person.staticMethod(); // staticMethod

// ③ 정적 프로퍼티/메서드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인스턴스로 참조/호출할 수 없다.
// 인스턴스로 참조/호출할 수 있는 프로퍼티/메서드는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해야 한다.
me.staticMethod(); // TypeError: me.staticMethod is not a function

③에서 보면 정적 프로퍼티/메서드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한 인스턴스로 참조/호출할 수 없다.

image

Object.create 같은 메서드는 정적 메서드이고,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같은 메서드는 프로토타입 메서드이다.

프로토타입 메서드를 호출하려면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하지만,
정적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아도 호출할 수 있다.

function Foo() {}

// 프로토타입 메서드
// this를 참조하지 않는 프로토타입 메소드는 정적 메서드로 변경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oo.prototype.x = function () {
  console.log('x');
};

const foo = new Foo();
// 프로토타입 메서드를 호출하려면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
foo.x(); // x

// 정적 메서드
Foo.x = function () {
  console.log('x');
};

// 정적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아도 호출할 수 있다.
Foo.x(); // x

아래 MDN사이트에 가면 자세히 나온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Object

image

13.프로퍼티 존재 확인

13.1 in 연산자

in연산자는 객체 내에 특정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 key: 프로퍼티 키를 나타내는 문자열
 * object: 객체로 평가되는 표현식
 */
key in object
const person = {
  name: 'Lee',
  address: 'Seoul'
};

// person 객체에 name 프로퍼티가 존재한다.
console.log('name' in person);    // true
// person 객체에 address 프로퍼티가 존재한다.
console.log('address' in person); // true
// person 객체에 age 프로퍼티가 존재하지 않는다.
console.log('age' in person);     // false

in대신 ES6에서 도입된 Reflect.has메서드도 사용할 수 있다. in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const person = { name: 'Lee' };

console.log(Reflect.has(person, 'name'));     // true
console.log(Reflect.has(person, 'toString')); // true

13.2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 메서드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메서드를 사용해 객체에 특정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console.log(person.hasOwnProperty('name')); // true
console.log(person.hasOwnProperty('age'));  // false

객체 고유의 프로퍼티인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한다.
만약 프로퍼티키가 객체 고유의 프로퍼티가 아니고 상속 받은 경우 false를 반환한다.

console.log(person.hasOwnProperty('toString')); // false

14. 프로퍼티 열거

14.1 for…in 문

객체의 모든 프로퍼티를 순회하며 열거(enumeration)하려면 for...in문을 사용한다.

  • 프로퍼티 키를 순회한다.
  • 프로토타입 체인을 모두 순회한다.
  • [[Enumerable]]값을 참조한다.
  • 심벌을 열거하지 않는다.
  •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하지만 모던 브라우저는 순서를 보장한다.)
for (변수 선언문 in 객체) {...}
const person = {
  name: 'Lee',
  address: 'Seoul'
};

// for...in 문의 변수 prop에 person 객체의 프로퍼티 키가 할당된다.
for (const key in person) {
  console.log(key + ': ' + person[key]);
}
// name: Lee
// address: Seoul

for...in문은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는 모든 프로퍼티 중에서 프로퍼티 어트리뷰트[[Enumerable]]값이 true인 프로퍼티만 열거(enumeration)한다.

toString 같은 경우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지만 [[Enumerable]]값이 false이기 때문에 for...in문에서 열거되지 않는다.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Object.prototype, "toString")
// {writable: true, enumerable: false, configurable: true, value: ƒ}

또한 for...in문은 프로퍼티가 심벌인 경우에도 열거하지 않는다.

const sym = Symbol();
const obj = {
  a: 1,
  [sym]: 10
};

for (const key in obj) {
  console.log(key + ': ' + obj[key]);
}
// a: 1

hasOwnProperty, enumerable 예제

function Person(){

}
Person.prototype.name = 'inyong';

var p = new Person();
p.age = 10;
for(v in p) console.log(v);
// age
// name

// 만약 본인 것만 출력하려면 hasOwnProperty 메서드를 활용한다.
for(v in p){ 
    if(p.hasOwnProperty(v))
        console.log(v)
}
// age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Object.prototype, "toString")
// {writable: true, enumerable: false, configurable: true, value: ƒ}


Object.defineProperty(Person.prototype, 'firstName', {
  value: 'Inyong',
  writable: true,
  enumerable: false,
  configurable: true
});

Object.defineProperty(Person.prototype, 'lastName', {
  value: 'Hong',
  writable: true,
  enumerable: true,
  configurable: true
});

// firstName은 enumerable 값이 false이기 때문에 출력되지 않는다.
for(v in p) console.log(v);
// age
// name
// lastName

배열에서는 for...in보다는 일반적인 for문이나 for...of문이나 Array.prototype.forEach메서드를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배열도 객체이기 때문에 자신의 프로퍼티나 상속받은 프로퍼티가 포함될 수 있다.

const arr = [1, 2, 3];
arr.x = 10; // 배열도 객체이므로 프로퍼티를 가질 수 있다.

for (const i in arr) {
  // 프로퍼티 x도 출력된다.
  console.log(arr[i]); // 1 2 3 10
};

// arr.length는 3이다.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console.log(arr[i]); // 1 2 3
}

// forEach 메서드는 요소가 아닌 프로퍼티는 제외한다.
arr.forEach(v => console.log(v)); // 1 2 3

// for...of는 변수 선언문에서 선언한 변수에 키가 아닌 값을 할당한다.
for (const value of arr) {
  console.log(value); // 1 2 3
};

14.2 Object.keys/values/entries 메서드

for...in문은 객체 자신의 고유 프로퍼티 뿐만 아니라 상속받은 프로퍼티도 열거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유의 프로퍼티만 열거하기 위해서는
Object.keys, Object.valeus, Object.entries 메서드 사용을 권장한다.


1)Object.keys
객체 자신의 열거가능한(enumerable)프로퍼티 키를 배열로 반환한다.

const person = {
  name: 'Lee',
  address: 'Seoul',
  __proto__: { age: 20 }
};

console.log(Object.keys(person)); // ["name", "address"]


2)Object.values
ES8에서 도입되었다.
객체 자신의 열거 가능한 프로퍼티 값을 배열로 반환한다.

console.log(Object.values(person)); // ["Lee", "Seoul"]


3)Object.entries
ES8에서 도입되었다.
객체 자신의 열거 가능한 프로퍼티 키와 값의 쌍의 배열을 배열에 담아 반환한다.

console.log(Object.entries(person)); // [["name", "Lee"], ["address", "Seoul"]]

Object.entries(person).forEach(([key, value]) => console.log(key, value));
/*
name Lee
address Seoul
*/

Leave a comment